반응형
CMA 통장과 금리액티브 ETF의 특징, 장단점, 금리 비교 및 추천 정보를 제공합니다. 2025년 최신 금융 상품 정보를 확인하세요.
CMA 통장 vs 금리액티브 ETF: 2025년 단기 자금 운용 가이드
CMA 통장과 금리액티브 ETF는 모두 단기 자금 운용에 유용한 상품이지만, 금리, 안정성, 유동성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상품의 특징과 장단점을 비교하고, 2025년 3월 기준 최신 정보를 소개합니다.
CMA 통장
CMA 통장이란?
CMA(Cash Management Account)는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종합자산관리계좌로, 예금처럼 자유로운 입출금이 가능하면서도 일반 예금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CMA 통장의 종류
- RP형: 국공채, A등급 이상 우량 채권 등에 투자
- MMF형: 단기 금융 상품에 분산 투자하는 펀드 형태
- MMW형: 신용등급이 높은 금융기관의 단기 금융 상품에 투자
- 발행어음형: 증권사가 발행하는 어음에 투자
CMA 통장 금리 비교 (2025년 3월 기준)
금융사 | 상품 | 금리 (연, 세전) | 특징 |
---|---|---|---|
미래에셋증권 | CMA-RP 네이버통장 | 3.05% | 네이버페이 머니 충전 시 포인트 적립 (1천만원 이하) |
다올투자증권 | CMA (RP형) | 2.90% | 금액 제한 없이 동일 금리 적용 |
우리종합금융 | 우리WON CMA Note (종금형) | 2.80% | 예금자 보호 가능 |
한국투자증권 | CMA (발행어음형) | 2.75% | 다양한 투자 상품 연계 |
금리액티브 ETF
금리액티브 ETF란?
금리형 ETF는 CD(양도성예금증서) 금리나 KOFR(한국무위험지표금리) 등 단기 금리를 추종하는 ETF로, 파킹통장처럼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면서도 주식처럼 쉽게 거래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금리액티브 ETF 비교 (2025년 3월 기준)
ETF | 비교 지수 | 총 보수 (연) | 1개월 수익률 | 특징 |
---|---|---|---|---|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 CD 금리 | 0.02% | 0.28% | 개인 순매수 1위, 거래량 활발 |
TIGER KOFR금리액티브(합성) | KOFR 금리 | 0.03% | 0.29% | |
ARIRANG 머니마켓액티브 | KIS 시가평가 MMF 지수 | 0.30% |
CMA 통장 vs 금리액티브 ETF,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 안정성 중시: 예금자 보호가 가능한 종금형 CMA 통장이나, 비교적 안정적인 채권에 투자하는 RP형 CMA 통장 추천
- 높은 수익률 추구: 금리액티브 ETF 활용 (단, 거래 수수료와 세금 고려 필요)
- 절세 계좌 활용: ISA, 연금저축 등에서는 금리액티브 ETF가 유리
- 소액 투자: KOFR금리 ETF나 MMF ETF 추천
- 자금 활용의 유연성: 수시 입출금이 필요하다면 CMA 통장이 유리
'생활정보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움증권 irp계좌 개설방법 (0) | 2025.03.24 |
---|---|
IRP 계좌 개설 방법 완벽 가이드 (2025년) (0) | 2025.03.24 |
미국 주식하는 법: 초보자를 위한 완벽 가이드 (0) | 2025.03.23 |
주식 사이트 추천 (2025년) (0) | 2025.03.21 |
2025년 주식거래 수수료 비교 - 은행개설계좌 HTS 수수료 (0) | 2025.03.17 |